전체 글 591

끝. 아닌 끝.

Death card 죽음... 순환의 시작.... 변화. 변질. 끝. 순리. 다 끝났다. 난 어떠한 말도 어떠한 행보도 준비하지 않았다. 참 바보 같은 대답들.. "왜 그렇게 말을 못했어요?" 정말 바보 같은 대답.. 대답을 하고 있었지만 입으로만 쫑알대었고 머리속은 멈춰있었다. 마지막으로 "사랑했었다" 라고 말해버렸다. 그리고 떠난다. 어디로 갈지도 모르겠고 비전을 제시하지도 않았다. 왜 그럴까? 빌어먹을 그 대회 때문인가? 아니면 공부 때문인가? 어찌되었든 난 떠나야 할 때인지 아닌지도 모르고 다만 떠난다고 확신 했던 그때의 말을 부여잡고 떠난다. 나의 상태는 지칠대로 지쳐버린... 누군가 말했다. "마음 때문이냐? 육체 때문이냐?" 둘 다. 따로 따로 하지만 하나로 나타나다. 그 와중에도 생각하는 ..

日常 2009.02.23

탐구로서의 공부와 분출

-정신이 너무 몽롱하고 정리가 안되어서 쥐어짜 본다. 1. 어떠한 현상이 일어 났을때 난 주위 사람들을 관망한는 습관이 있다. 어떠한 일에 뛰어 들기 전에 지켜보며 그것의 습성을 먼저 연구한다. 연구한 학술적 정리와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경우에는 전혀 새로운 것을 발견 하기도 한다. 2. 사상은 자신의 생애에 깊은 관련이 있다. 키에르케고르가 그러했던 것 처럼. 나 또한 -나의 한계가 아닌가? 라는 불만족이 지배하지만-내 생활에서 깨달은 것으로 논리를 펴내고 있다. 내 생각에 이러한 것은 많은 부분이 불안한 것이고, 한쪽으로 치우칠 우려가 내재해 있기 때문에 일종의 '검증'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공부를 하는 것이고, 공부는 습득이 아닌 탐구로써의 역할을 감당하게 한다. 3. ..

thought 2009.02.19

개역개정판....대한성서공회 ..소식

개인적으로 과 , , 을 대조해 가면서 성경을 보고 있다. 어떤 이는 개역개정은 너무 이상해서 못보겠다고 말하는 분이 있었는데, 개역한글을 오랫동안 보아서 조금은 평이하게 번역한 개정판에 적응이 안될 수도 있을꺼라 생각이 들긴 한다. 하지만 성경은 계속해서 개정되어야 하고 또 새로 번역되어야 한다 생각하며, 독자는 그 번역이 자신의 감동과 조금 다를지라도 존중해 주어야 한다 생각한다. 더욱이 넓고 깊은 하나님의 말씀을 품기 위해서는 공부 또 공부해야 한다. 좀 된 글이긴 하지만 유익하기에 스크랩해왔다.. 개인적으로 4번 추천의 글 중 회고록이 재미 있었다. [출처: 네이버 예수님 닮아 가는 교회] 링크가 되지 않고 상당히 긴 글이라 티스토리 글 제한에 걸려 word화일로 첨부 합니다. 아래 화일을 다운로..

cristian story 2009.02.18

『아빙돈 단권 성경 주석』사건

[출처: 엠파스] 『아빙돈 단권 성경 주석』사건 1934년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 장로교와 감리교의 젊은 신학도들이 개신교 선교 50주년을 기념하여 『아빙돈 단권 성경 주석』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는데, 이것이 개신교회와 신학계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당시 미국의 유명한 기독교 출판사였던 아빙돈 출판사에서 나온 이 책은 당시까지의 신학적 연구 성과를 총망라하고 부분적으로는 고등 비평까지 수용하는, 당시로서는 해외에서 인정받는 최첨단의 성경 주석서였다. 먼저 감리교 교육국 총무였던 유형기 박사가 전체 편집을 책임지고 양주삼, 정경옥, 김창준, 전영택, 변홍규 등이 주축을 이루어 번역을 시작하였다. 이어 당시 장로교 소속으로 미국과 일본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던 송창근, 김재준, 채필근, 한경직 목사도 이에 찬동하여..

cristian story 2009.02.18

귀납적 성경연구방법에 관한 도서

[출처: 다음 다시오실 예수님] ★ 김인희, 귀납적성경연구, 아나톨레 22회수련회 특강, 99, 1 ★ 노경모, 귀납적성경연구의 이론과 실제, 아나톨레 15회수련회 특강, 95, 8 ★ 이인호, 귀납적성경연구의 이론과 실제, 아나톨레 18회수련회 특강, 97, 1 ★ 에이다 럼 외, 창조적인 성경연구, 한국기독학생회(IVP), 소책자시리즈 24) * 국내에 IVF를 통해 거의 처음으로 귀납적방법(이하IBS)을 소개한 에이다 럼이 가장 간략하면 서도 이론과 실제를 초보자에게 제시한 훌륭한 책이다. 소책자이나 그리 가볍지 않다. ★ L. 마갈릿. 효과적인 성경공부, IVP * IBS를 실례를 들어가면서 비교적 자세히 소개하고 있어 초보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 IVF자료개발부, 성경연구핸드북, IVP. *..

cristian story 2009.02.18

성서와 관련한 사전류의 역사

[출처: 다음 행복충전소] 1994년 현재 성서는 2천92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사람들이 읽든 그렇지 않든 간에 세 계의 베스트 셀러의 자리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그러나 성서가 쉽게 이해되는 책이 아니라 는 것은 성서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외에도 성서가 기록된 연대는 2천년에서 3천년으 로 소급되고 기록된 장소 또한 팔레스틴을 중심으로한 근동지역이므로 현대인이 성서를 이 해하고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이다. 이런 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성서주석학으로 더 나아가 성서해석학 으로 나타난다. 성서해석학은 '그때' 와,'지금', '거기'와'여기'사이를 연결하려 성서본문의 원래의 의미를 밝힐 뿐만 아니라 그 본문이 현대인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지를 밝히는 과제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과제를 수행..

cristian story 2009.02.18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등 종파의 시작은 어떻게?

[출처: 네이버 검색]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등 종파의 시작은 어떻게? rlatlgudwp 2005.08.27 00:06 답변 4| 조회 2,295 지금 우리 나라에는 많은 교회의 종파가 있습니다.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등등 그리고 이 안에서 또다시 예수교 장로회, 기독교 장로회, 합동, 통합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말고 외국에도 우리나라처럼 기장이나 예장이나 합동이나 통합이나 등등으로 나누어 져 있을까요? 예장, 기장, 합동, 통합은 우리 나라에서 나뉘어 졌기에 외국에는 없겠죠? 그렇다면 외국에는 어떠한 종파가 나뉘어 져 있고, 그 시작, 즉 뿌리는 어떻게 해서 종파가 생겼을까요? 신고 의견 6 질문자 채택된 경우,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re: 장로교, 감리교, 침례..

cristian story 2009.02.17

독립침례교회

[출처: 네이버 검색] 한국의 침례교회는 따지고 보면 하나 였습니다.(구원파에 대해서 말한것은 아님) kesll 2006.05.19 21:13 답변 2| 조회 1,338 왜 기독교한국침례회 세운 팬윅 선교사가 캐나다 독립침례교회 선교사 였기 때문입니다. 즉 한국의 침례교회는 독립침례교회에서 출발 한것입니다. 그러나 그 팬윅이 자기의 본 의도와는 다르게 교단 침례교회를 세웠습니다. 확실히 모르지만, 아마도 팬윅이 아니라 그 후배 지도자인것 같습니다. 그렇게 교단이 세워졌습니다. 초기엔 침례교가 약해지면서 타 교파의 눈치를 보았던것 같습니다. 그래서 축도도 하고, 장로도 세우고 그런 교회가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더 지나자 이상한 주문도 하고 그럽니다. 아쉽습니다..... 신고 의견 1 질문자 채택된 경우,..

cristian story 2009.02.17

성경연구 추천 사이트

[출처: http://sahmyook.ms.kr/cgi-bin//read.cgi?board=church_01&y_number=71&nnew=1] ※참고사항 -스크랩을 할때 링크가 제대로 걸려 있지 않아서 수작업으로 모두 링크를 다시 걸어 주긴 했지만, 링크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곳은 주소를 카피해서 주소창에 입력 후 들어가야 할 것 입니다. -아래 사이트 모두를 확실히 문제 없는 곳인지는 저도 모릅니다. -난.... 그냥 스크랩 해왔을 뿐이고.. 그냥 링크 안걸리길래 시간 걸려 가며 링크 걸었을 뿐이고... -성경공부는 출석하는 교회 목사님께 공부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성경연구 추천 사이트 가나마을 [http://www.canavillage.com/] - 연결안됨 성경개론, 성경주석, 성경강해..

cristian story 2009.02.17

한국 교회사 정리

[출처:개혁교회 말씀 사경회] 한국 교회사 정리 서론 : 지난 2세기 동안 세계 사조, 특별히 기독교 사상은 역사상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격변의 변천 과정을 거쳐왔다. 서구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이 역사에 등장하면서 종교를 시대적 역사적 산물로 보려는 움직임이 기독교계 일각에서 일어나 종교 진화론과 종교 사학파의 영향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유럽 기독교 지성사의 변천이 19세기 중반부터 미국 기독교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전통적인 청교도 개혁주의가 지배하던 미국 기독교가 유럽으로부터 밀려오는 고등비평과 찰스 다윈의 진화론등 현대사조로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거의 같은 시기, 특히 19세기 후반 남북전쟁 이후부터 미국 사회는 농업중심의 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전환되면서 산업화로 인..

cristian story 2009.02.13